메뉴 건너뛰기

外山/이성우 2009.03.30 09:08 조회 수 : 3006 추천:3


||0||0

노벨상을 수상한 저명한 물리학자인 리처드 파인먼은 친구로부터
"과학자들이 꽃을 연구함으로써 아름다움을 놓친다"는 비판을 듣
게 되었습니다.  

이에 파인먼은 "자네가 보는 아름다움은 나한테도 보이네.
그렇지만 나는 누구나 쉽게 느낄 수 없는 더 깊은 아름다
움도 본다네. 꽃에서 벌어지는 복잡한 상호작용을 본다는
말일세.꽃의 색은 붉은 색이네.식물이 색을 갖는다는 사
실이 곤충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진화했음을 의미할까?
그러면 또 다른 질문이 생긴다네.곤충은 색을 볼 수 있을
까?.미적 감각이 있을까?.이렇게 계속되는 것일세. 꽃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아름다움을 감쇠시키는 것인지 난 모
르겠네.언제나 더 할 뿐이지"

예술과 과학 생각하기 나름 아닐까요?.
그리고 굳이 구별할 필요가 있을까요?.

사진은 동박새를 기다리다 동박새는 못보고 찍은 동백꽃
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결혼합니다. [6] 학지 2024.04.15 80
74 6월 11일 한라산 [7] file 산야 2022.06.28 123
73 어이가 없어서 [4] file 윤재규 2022.06.28 45
72 하늘나리 [2] file 산야 2022.06.30 29
71 닭의난초 [2] file 산야 2022.07.01 37
70 구실바위취 [4] file 산야 2022.07.01 52
69 솔나리 [4] file 산야 2022.07.04 37
68 유월의 꽃 [4] file 산야 2022.07.04 51
67 병아리난초 & 가는동자꽃 [3] file 산야 2022.07.05 39
66 솔나리 & 왜솜다리 [3] file 산야 2022.07.05 98
65 꼬리진달래 [2] file 산야 2022.07.08 33
64 큰바늘꽃 [4] file 산야 2022.07.08 33
63 이끼 [2] file 산야 2022.07.13 38
62 연잎꿩의다리 [2] file 산야 2022.07.13 52
61 숫잔대 [2] file 산야 2022.07.20 34
60 나도승마 [2] file 산야 2022.07.20 39
59 영주치자 & 산매자나무 [2] file 산야 2022.07.22 43
58 7월17일 한라산의 식생 [2] file 산야 2022.07.26 88
57 설악산 바람꽃 & 가는다리장구채 [2] file 산야 2022.07.27 62
56 나도여로 [2] file 산야 2022.07.30 36
55 큰가시연꽃 & 가시연꽃 [2] file 산야 2022.08.04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