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돗가비 2010.07.13 14:18 조회 수 : 3050 추천:1

 

솔체꽃DGB_8052-800X530_eflora.jpg

 

체꽃-800X530_eflora.jpg

 

체꽃-800X530_eflora.jpg


솔체꽃DGB_7945-450X672_eflora.jpg
<솔체꽃>

 

체꽃-800X530_eflora.jpg

<체꽃 : 설악산>

 

체꽃DGB_6498-800X530_eflora.jpg

<체꽃 : 남덕유산>

 

구름체꽃DSC_1036-450X672_eflora.jpg

<구름체꽃 : 한라산>


 

솔체꽃DGB_6614뿌리잎-800X530_eflora.jpg

★.솔체꽃의 뿌리잎(근생엽) : 솔체꽃, 체꽃은 꽃이 필 때쯤이면 말라버리지만 구름체꽃은 뿌리잎(근생엽)이 꽃이 필때까지 남아 있다.

※.산토끼꽃과 솔체꽃속은
    기본종인 솔체꽃, 그리고 이것의 품종인 민둥체꽃, 체꽃, 구름체꽃이 있는데
    민둥체꽃(솔체꽃과 달리 잎에 털이 없다.)은 아직 관찰한 바가 없어 모르겠고
    체꽃, 구름체꽃은 솔체꽃의 고산형(소형 小形)으로 보시면 될듯합니다.

    이들의 특징 중에서 저는
    가지가 나누어지는(분지) 형태인 것인가, 나누어지지 않는 것인가, 하는데 촛점을 맞추었습니다.
    기본종인 솔체꽃은 키도 크거니와 잎겨드랑이(엽액)에서 서로 마주하는 모습의 가지들이 많이 나누어 집니다.
    체꽃도 크기는 작지만 그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고
    구름체꽃은 이들처럼 가지가 나누어지지 않고 한 개의 꽃줄기만 있는데
    이 구름체꽃은 한라산에서만 보았습니다.
   ( 강원도 대암산 용늪에서도 본 것이 있는데 이는 끝까지 관찰할 수가 없어 확신을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 경험상 덕유산(남덕유)을 비롯하여 강원도 고산의 것은 대부분 체꽃일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는 어디까지나 제 주관적인 것이니 산향중에 만나는 이들을 잘 관찰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도감은 한국기준식물도감, 대한식물도감 입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결혼합니다. [6] 학지 2024.04.15 80
1374 세뿔투구꽃 [2] file 산야 2022.10.13 12
1373 구절초 [2] file 산야 2022.10.12 16
1372 은행나무길, 단풍나무길 [1] file 산야 2022.10.08 17
1371 키큰산국 [1] file 산야 2022.10.04 18
1370 자주쓴풀 [1] file 산야 2022.10.08 18
1369 애기향유 [2] file 산야 2022.10.08 21
1368 꽃향유 [2] file 산야 2022.10.08 22
1367 호수의 아침 소경 [1] file 산야 2022.11.12 22
1366 개쓴풀 [2] file 산야 2022.10.05 24
1365 둥근잎꿩의비름 [1] file 산야 2022.10.07 24
1364 감국 [2] file 산야 2022.11.04 24
1363 매밀 & 백일홍 [1] file 산야 2022.09.19 26
1362 자금우 [3] file 산야 2022.11.14 29
1361 하늘나리 [2] file 산야 2022.06.30 29
1360 꼬리겨우살이 [2] file 산야 2022.11.14 30
1359 꽃무릇 [1] file 산야 2022.09.19 33
1358 큰바늘꽃 [4] file 산야 2022.07.08 33
1357 꼬리진달래 [2] file 산야 2022.07.08 33
1356 야자수 [3] file 산야 2022.11.28 34
1355 숫잔대 [2] file 산야 2022.07.20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