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學知 / 홍순곤 2009.06.26 07:46 조회 수 : 609 추천:2

0606 698.jpg
NIKON D3|f/5.0|10/10000s|Manual|ISO200|2009:06:07 07:35:37|Spot|1050/10mm|

 

0606 700.jpg
NIKON D3|f/5.0|10/10000s|Manual|ISO200|2009:06:07 07:35:52|Spot|1050/10mm|

 

0606 748.jpg
NIKON D3|f/5.0|10/12500s|Manual|ISO200|2009:06:07 08:07:00|Spot|1050/10mm|

 

 

학명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분류 매자나무과
원산지 한국
분포지역 한국(제주도 한라산)
자생지 해발고도 1,400m 이상의 높은 산
크기 높이 1~2m

 

섬매자나무라고도 한다. 해발1,400m 이상의 높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1~2m이며 가지가 많고 작은 가지에 홈이 있다. 2년생 가지는 회색 또는 노란빛을 띤 회색이며 가시가 크고 3개로 갈라진다.


잎은 새 가지에서는 어긋나며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는 것처럼 보인다. 길이 1~3cm의 거꾸로 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털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을 띤다.

꽃은 5~6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짧은 가지 끝에 10~20송이가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길이 2~3cm로 짧고 아래로 반쯤 처져 있다. 꽃잎은 6장이며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6개로 밑부분에 2~3개의 작은 포(苞)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지름 1cm 정도의 긴 타원형이다. 9월에 붉게 익으며 잎이 떨어진 뒤에도 겨울까지 달려 있다. 잎과 가지는 염료 및 약재로 쓴다. 본종인 매발톱나무에 비해 잎이 작고 털 모양의 톱니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 특산식물로 우리나라(한국) 한라산에 분포한다.  

 

  [ (자료) 네이버 두산백과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