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태공 2009.11.15 17:24 조회 수 : 372 추천:9

PICT0011.JPG
DiMAGE Z5|f/3.2|LEAD Technologies Inc. V1.01|f/3.2|1/320s|Manual|ISO50|2005:01:01 00:00:00|Pattern|Flash did not fire, compulsory flash mode|673500/65536mm|

대성쓴풀

 

90729_857.jpg
DiMAGE Z5|f/5.0|LEAD Technologies Inc. V1.01|f/5.0|1/1000s|Manual|ISO50|2005:01:01 00:00:00|Pattern|Flash did not fire, compulsory flash mode|673500/65536mm|

네귀쓴풀

 

%EC%9B%9080909%EB%8C%80%EA%B4%80%EB%A0%B9091.jpg
DiMAGE Z5|f/4.5|LEAD Technologies Inc. V1.01|f/4.5|1/1000s|Manual|ISO100|2005:01:01 00:00:00|Pattern|Flash did not fire, compulsory flash mode|673500/65536mm|

큰잎쓴풀

 

90914_212.jpg
DiMAGE Z5|f/3.2|LEAD Technologies Inc. V1.01|f/3.2|1/500s|Manual|ISO50|2009:09:14 12:05:15|Pattern|Flash did not fire, compulsory flash mode|673500/65536mm|

자주쓴풀

 

%EC%9B%9081004%EB%AA%85%EC%84%B1%EC%82%B0207.jpg
DiMAGE Z5|f/5.6|LEAD Technologies Inc. V1.01|f/5.6|1/1000s|Manual|ISO100|2005:01:01 00:00:00|Pattern|Flash did not fire, compulsory flash mode|673500/65536mm|

흰자주쓴풀

 

%EC%9B%9081007%EC%B9%A0%EB%B3%B4%EC%82%B0123.jpg
DiMAGE Z5|f/5.0|LEAD Technologies Inc. V1.01|f/5.0|1/1000s|Manual|ISO100|2005:01:01 00:00:00|Pattern|Flash did not fire, compulsory flash mode|673500/65536mm|

개쓴풀

 

%EC%9B%9081019%EA%B0%90%ED%8F%AC174.jpg

쓴풀

 

국내에서 자생하는 쓴풀류는 대략 이와같은 7종으로 분류되는것 같습니다.

 

대체로 석회질로 이루어진 고산에서 자라는편인데

쓴풀과 개쓴풀은 산성화된 오염지역 저지대 습지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최근 수년동안 종류를 파악하는데 급급하여 자세한 생육환경을 파악하지 못했습니다만

쓴맛 제대로 보기전에 위에서부터 피는 순서대로 자료 정리부터 해 둡니다.

 

세세한 개별 식생은 검색창 두드리면 되겠지요?

 

모처럼 뻥 뚫린 공간이 수십Km밖에 있는 산들의 지형을 제대로 보여준 주말입니다.

모두 잘 지내셨죠?